고관절 수술 후 회복을 위해서는 초기 재활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. 적절한 재활운동을 통해 관절 가동 범위를 회복하고, 근력을 강화하며, 다시 일상으로 복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이 글에서는 보행기 사용법과 집에서 할 수 있는 안전한 초기 재활운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.
1. 고관절 수술 후 초기 관리의 중요성
고관절 수술 직후에는 수술 부위의 안정과 통증 관리가 최우선입니다. 초기 재활운동을 통해 근육 위축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초기 관리 원칙
- 안정성 유지: 무리한 동작을 피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보조기를 착용합니다.
- 체위 변경: 누워 있는 상태에서 2~3시간마다 자세를 바꾸어 혈액순환을 돕습니다.
- 통증 관리: 통증이 심할 경우 얼음찜질이나 진통제를 통해 관리합니다.
2. 보행기 사용법
고관절 수술 후 처음으로 걷기 시작할 때는 보행기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올바른 보행기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회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.
보행기 사용 단계
- 보행기 위치 조정
- 보행기는 몸 앞쪽 15~20cm 앞에 위치하도록 설정합니다.
- 손잡이는 허리 높이에 맞추어 팔꿈치를 약간 구부렸을 때 편하게 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.
- 걷는 순서
- 보행기를 몸 앞으로 밀어낸 후 수술한 다리부터 한 걸음 내딛습니다.
- 다음으로 건강한 다리를 수술한 다리 옆으로 이동합니다.
- 걸을 때 상체는 앞으로 숙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- 계단 오르내리기
- 오를 때: 건강한 다리를 먼저 올리고, 이후 보행기와 수술한 다리를 천천히 따라 올립니다.
- 내려갈 때: 보행기와 수술한 다리를 먼저 내린 후 건강한 다리를 천천히 내립니다.
3. 집에서 할 수 있는 초기 재활운동
수술 직후에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, 가볍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다음은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초기 재활운동입니다.
1) 발목 펌프 운동
- 방법: 누운 상태에서 발목을 위아래로 움직입니다.
- 효과: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종아리 근육 경련을 예방합니다.
- 횟수: 하루 5~10분씩 3회 실시
2) 무릎 펴기 운동
- 방법: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무릎 뒤에 작은 베개를 두고 무릎을 천천히 펴줍니다.
- 효과: 허벅지 앞쪽 근육(대퇴사두근) 강화에 좋습니다.
- 횟수: 하루 5~10회씩 3세트
3) 둔부 수축 운동
- 방법: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둔부(엉덩이) 근육에 힘을 주었다가 천천히 힘을 뺍니다.
- 효과: 둔부 근육을 강화하고 고관절 안정성 회복에 좋습니다.
- 횟수: 하루 5~10회씩 3세트
4)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
- 방법: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수술한 다리를 곧게 편 상태로 5~10cm 정도 들어올립니다.
- 효과: 대퇴사두근을 강화하고 고관절의 안정성 향상에 효과적입니다.
- 횟수: 하루 5회씩 3세트
5) 측면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
- 방법: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위쪽 다리를 천천히 들어올립니다.
- 효과: 고관절 외측 근육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.
- 횟수: 하루 5회씩 3세트
4. 초기 재활운동 시 주의사항
- 통증이 심해지면 즉시 중단하고 전문의 상담을 받으세요.
- 운동 후 부기가 심해지면 얼음찜질을 통해 관리하세요.
- 실내에서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카펫이나 매트를 정리하세요.
- 규칙적으로 운동 일지를 작성해 회복 상황을 체크하세요.
5. 고관절 수술 후 회복에 도움 되는 생활 습관
- 의자에 앉을 때는 등받이가 있는 높은 의자를 사용하세요.
- 바닥에 앉는 것은 피하고 침대나 소파를 이용하세요.
- 양말이나 신발을 신을 때는 보조 도구를 활용해 허리를 숙이지 않도록 하세요.
- 식사는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식단으로 구성하세요.
- 회복 중에는 규칙적인 수면을 통해 신체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.
6. 마무리
고관절 수술 후 초기 재활운동은 일상으로 복귀하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. 꾸준한 운동과 올바른 생활 습관을 통해 건강한 관절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. 다만, 재활운동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야 하며, 항상 전문의와 상의 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건강한 회복을 위한 작은 노력이 큰 변화를 만듭니다. 꾸준한 실천을 통해 통증을 줄이고, 더 활기찬 일상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.
출처
- 대한재활의학회 (https://www.karm.or.kr/)
-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센터 (https://health.snuh.org/)
- 메이요 클리닉 (https://www.mayoclinic.org/)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깨 충돌 증후군 환자를 위한 '일상 회복 재활 루틴' (0) | 2025.03.15 |
---|---|
'디지털 기기 과사용'으로 인한 거북목 교정 재활법 (0) | 2025.03.15 |
‘고령자 전용 운동 기구’를 활용한 맞춤형 재활 운동 가이드 (0) | 2025.03.13 |
노인성 ‘감각 둔화’ 극복을 위한 감각 자극 훈련법 (0) | 2025.03.13 |
노인의 ‘근력 불균형’이 낙상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 방법 (0) | 2025.03.13 |